전체 글

😁 쓰레드란?thread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모든 프로세스에는 한 개 이상의 스레드가 존재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쓰레드는 한줄씩 코드를 실행한다.쓰레드는 멀티 태스킹에서 쓰이는 워크플로우의 최소 단위이다. 왜 쓰레드가 존재하는 지 그리고 쓰레드를 하나만 있을 때 문제점을 보고, 어떻게 해결할 지 함께 아래 글을 보며 생각해보자! 쓰레드 하나일 때를 가정하고, 단일 요청이 들어왔을 때1. 아무런 요청이 없을 때 쓰레드는 휴식을 취하고 있다.2. 요청이 들어오면 휴식하고 있던 쓰레드가 있으니 할당해준다. 그 이후 쓰레드는 servlet을 호출하여 코드를 실행한다.3. 쓰레드를 할당 후 코드를 실행하고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보내준다.4. http는 비연결성이다. 즉, 응답..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Dynamic Web을 만들 때 의문이 발생했다.왜 Servlet을 여러개 나누지 않는걸까? 주소를 나누면 되는 것이 아닌가?@WebServlet("/main")public class MainServlet extends HttpServlet@WebServlet("/login")public class LoginServlet extends HttpServletServlet이 Spring의 Controller의 역할을 한다고 착각하고 있었다. Servlet은 Spring에서 FrontController 역할을 하고있다.Servlet이 여러개 있으면 발생하는 문제점.Servlet의 생명주기는 Web Container가 꺼질 때까지 반영구적이다.즉, Servlet 객체는 한번 생기면 서버가..
개요스프링의 동작하는 방식에 대해 고민을 할 때, 서블릿이 관련되어 있다.servlet이 무엇일까?서블릿을 한 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프로그래밍 기술 Servlet 특징-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html 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한다.-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된다.- HTTP 프로토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는다.- UDP 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다.- HTML 변경 시 Servlet을 재 컴파일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Servlet 동작 흐름1. 클라이언트 : 웹 브..